국민인! 국민인!!
폴 세잔과 에밀 졸라 30년 우정의 기록, <교차된 편지들>번역 출간 / 나일민(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공간·문화디자인학과) 교수 | |||
---|---|---|---|
현대 미술과 현대 문학의 지평을 연 세잔과 졸라,
“금빛으로 된 우리 둘의 이름은 첫 장에서 하나 되어 반짝이고,
세잔 사후 120주년을 앞두고, 나일민 교수(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가 번역한 폴 세잔과 에밀 졸라의 서한집 <교차된 편지들 1858-1887>이 소요서가에서 출간되었다. 후기 인상주의 화가 폴 세잔과 자연주의 문학의 대표주자 에밀 졸라가 30년간 주고받은 115통의 편지를 완역한 이 책은, 2016년 프랑스 갈리마르(Gallimard) 판을 저본으로 하여, 에밀 졸라 연구의 권위자 앙리 미테랑(Henri Mitterand)이 시간순으로 배열하고 상세한 해설을 추가했다.
지중해의 땅, 남프랑스 엑상프로방스 중학교에서 만난 두 소년이 화가와 작가로 성장하며 이어간 우정과 예술적 여정을 담은 이 편지들은, 역사적 격변기인 19세기 중후반 프랑스를 배경으로 교차된다. 아카데미즘에 맞서 새로운 회화와 문학을 실험했던 두 사람의 편지에는 삶과 예술 전반에 걸친 상호 지지와 격려가 담겨 있다. 응답하듯 교차되는 편지들은 두 사람이 함께 직조해 나가는 한 편의 작품처럼, 개별 작가들의 인간적 초상과 예술관은 물론, 19세기 후반 프랑스 모던 문화와 예술의 현장을 생생하게 비추고 있다.
특히 이 책에는 2013년 새롭게 발견된, 다음 만남을 기약하는 세잔의 마지막 편지가 수록되어 있다. 이는 1886년 졸라의 소설 《작품》 속 자살로 생을 마감한 실패한 천재화가 주인공이 자신을 모델로 한 것이라고 여긴 세잔이 절교함으로써 두 사람의 관계가 단절되었다는 통설을 뒤집으며, 이들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한다. 200여 년의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지금 여기에서 만나는 세잔과 졸라의 대화는 서로 달랐기에, 또 함께였기에 더욱 빛나는 우정과 예술의 의미를 성찰하게 만드는 귀중한 기록이다.
나일민 교수는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파리 제1대학교(팡테옹-소르본)에서 미술사 학사·석사와 예술학(문화연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에서 예술·디자인 작품의 역사와 맥락, 의미에 관한 연구와 교육을 하고 있다. 자신만의 고유한 길을 가는 작가들의 언어와 삶, 실천을 조명하는 글을 쓰고 번역하며, 예술과 함께하는 공간문화 기획에도 참여하고 있다.
주해 및 엮은이 앙리 미테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