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언론속의 국민

[열린세상] ‘더 포스트’의 캐서린 같은 발행인이라면 / 이대현(언론정보학부) 겸임교수

사라진 것들이다. 담배를 물고 기사를 쓰고, 쓴 기사를 통에 담아 조판실에 보내고, 납 활자를 뽑아 판을 짜고, 혹시 낙종이라도 했을까 긴장하면서 다른 신문들이 나오기 무섭게 재빨리 펼쳐 보는 모습들. 이따금 영화에서나 만나 볼 뿐이다. 편집국에 원고지와 펜이 사라진 지 오래다. 컴퓨터 키 하나면 기사 송고와 편집까지 끝나고, 종이신문이 점점 줄어들고 온라인 뉴스가 언론의 대세인 시대다. 납 냄새 싸한 조판실, 윤전기가 도는 소리와 진동, 막 인쇄된 신문에서 풍기는 잉크 냄새가 주는 묘한 흥분과 긴장도 추억일 뿐이다.

 

변한 것은 모습만이 아니다. 영화 ‘더 포스트’(감독 스티븐 스필버그)는 반세기 전의 신문을 들고 와서 지금의 언론에 묻는다. 과잉경쟁, 천박한 상업주의와 경영논리, 집단이기주의에 빠진 정파성으로 언론 본래의 역할과 사명을 슬금슬금 잃어 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권력과 자본의 눈치나 보면서 정말 중요하고, 필요한 것은 포기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고.
 

4명의 대통령이 무려 30년 동안 추악한 거짓말로 국민을 속인 베트남전쟁에 대한 정부기밀문서(펜타곤 페이퍼)를 워싱턴포스트지에 공개하기로 결정한 뒤, 캐서린 그레이엄(메릴 스트립)은 이렇게 말한다. “뉴스는 역사의 초고다. 항상 옳을 수는 없고, 완벽할 수는 없지만 계속 써 나가야 한다”고.
 

그녀는 기자가 아니다. 편집국장도 아니다. ‘미국의 최초 여성’이란 수식어를 가진, ‘발행인’이라는 사실이 놀랍다. 그만큼 그녀의 말과 행동이 낯설고 예나 지금이나 우리가 아는 신문사 사주(社主)의 모습과는 사뭇 다르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그녀도 처음에는 망설였다. 남편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물려받은 언론사 사주로서 누리게 된 ‘지위와 관계’를 포기하기 싫었기 때문이다. 겁도 났다. 심각한 안보상황 파괴와 반역행위로 보안법 위반을 들먹이는 최고 권력층의 압력과 발행 중단 위협, 그로 인해 닥칠지 모르는 경영의 위기를 무시할 수 없었다. 법원의 판결에 따라서는 국가기밀 누설로 간첩죄를 뒤집어쓸 수도 있다.

  
 그러나 그녀는 고민 끝에 자신의 인생과 전 재산(신문사)을 걸고 이 모든 것에 과감히 맞서기로 한다. 용기와 결단에 앞서 마지막으로 편집국장 벤(톰 행크스)에게서 확인한 것은 자신과 회사(신문사)의 안위가 아니라, 문서 공개가 미국인 삶에 위협되지 않는다는 사실, 국가에 해가 되는 기사가 아니라 사실이었다.

 

그녀는 “신문 발행의 자유를 지키는 길은 발행뿐”이며, 신문이 진실을 담으려는 노력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으며, 발행인으로서의 역할을 저버리지 않았다. “기사가 나가지 않으면 그만두겠다”는 기자들, “정부가 신문기사 정해 주면 워싱턴포스트는 사라지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면서 거짓말을 우리가 끝내야 한다는 편집국장 벤의 편에 섰다.
 

“기사의 질과 수익은 함께 간다”는 경영철학을 가지고 투자를 아끼지 않은 발행인, 그러면서도 “논조는 내가 결정한다”는 벤의 말대로 편집국의 자유와 독립성을 지켜 주는 언론사 사주. 그래서 사람들이 그녀에게 ‘정론의 길을 터 준 신문 발행인’이라는 칭호를 붙이는가 보다. 50년 전이나 지금이나 권력은 오만하고 부패하며, 그런 권력을 감시하고 진실을 국민에게 알려야 하는 사명이 언론에 있기에 캐서린 같은 양심 있고 용기 있는 발행인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편집과 경영 사이에 놓여 있던 ‘방화벽’도 오래전에 무너졌다. 언론사도 자본 논리가 지배하면서 경영이 저널리즘의 가치를 존중하는 시대도 끝났다. 뉴욕타임스처럼 고집스럽게 기사의 질로 수익을 창출하려는 신문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보다는 수익을 위한 기사 생산에 매달리고, 기사의 질보다는 비즈니스 잘하는 기자를 ‘유능하다’고 평가하고, 재정 악화를 이유로 기자들은 혹사당한다. 언론의 정신과 사명을 저버린 이런 구차하고 비겁한 언론 현실을 만든 가장 큰 책임이 누구에게 있나.
 

영화 ‘더 포스트’가 그 답을 보여 주고 있다. 미국연방대법원은 워싱턴포스트 보도의 정당성에 손을 들어 주는 판결문에서 “언론은 통치자(권력)가 아닌 국민을 섬겨야 한다”고 했다. 물론 사주(자본)도 아니다.

 

출처: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309030001&wlog_tag3=naver

근무시간 안내

학기중 월,화,수 09:00~17:00 목,금 09:00~22:00 09:00~15:00

방학중 월~금 09:30~16:00

점심시간 12:00~13:00